리액트

FE/React

[React] Component and Props

1. Component 리액트는 컴포넌트 기반의 구조이다. 하나의 컴포넌트는 또 다른 여러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. 에어비앤비 페이지처럼 작은 컴포넌트들이 모여서 하나의 컴포넌트를 구성한다. 또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모여서 전체 페이지를 구성하기 때문이다. 리액트 컴포넌트의 입력은 props가 되고, 출력은 React element가 된다. 2. Props 리액트 컴포넌트 입력으로 들어가는 props에 대해 살펴보자 prop은 property(속성)라는 영어단어를 줄여서 쓴 것이다. 즉, prop은 react 컴포넌트의 속성이다. 마치 붕어빵에 들어가는 재료와 같다. 같은 붕어빵이라도 어떤 맛을 넣냐에 따라 다른 맛이 난다. 에어비앤비 컴포넌트도 겉은 같은 모습이지만, 안에 들어가는 정보에 따..

FE/React

[React] Elements

1. Elements 엘리먼트란 리액트 앱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블록들이다. 엘리먼트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. createElement를 적용하면 위와 같이 변환되는 것이다. 리액트 엘리먼트는 실제로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을 기술한다. 또한 돔 엘리먼트와는 다르다. 돔 엘리먼트는 가상 돔의 엘리먼트를 의미한다. 2. Elements 특징 1) 불변성 한 번 생성된 엘리먼트는 변하지 않는다. 즉 엘리먼트 생성 후에는 attributes나 children을 바꿀 수 없다. 마치 붕어빵과 같다. 구워진 붕어빵 속은 바꿀 수 없다. 그렇다면 화면에 변경된 엘리먼트를 보여주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? 기존 엘리먼트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엘리먼트를 생성하면 된다. 새로운 엘리먼트를 만들어서 기존 엘리먼트와 바..

FE/React

[React] React 프로젝트/컴포넌트 구조

1. node_modules npm에서는 외부 모듈들을 다운받고 관리해준다. 다운 받은 외부 모듈들이 node_modules에 들어간다. 2. package.json 프로젝트의 설정들이 들어간다. 외부 모듈을 다운받으면 dependencies에 모듈명과 버전들이 기입된다. 외부 모듈 다운 시 package.json에 모듈 정보가 기입되고 node_modules에 특정 모듈이 설치된다. scipts에 start부분을 보면 react-scripts start가 있는데, 이는 우리가 리액트를 동작시키기 위해 npm start를 치면 해당 코드가 동작하는 것이다. 3. public > index.html public은 주로 이미지 파일을 추가할 때 사용한다. src폴더에서 코딩을 하게 될 것이다. css, js..

FE/React

[React] React 시작하기 & node 다운받기

1. 기본지식 1) node.js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에서만 실행되는 언어였다. 점점 자바스크립트가 널리 사용되면서 '웹 개발 말고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'라는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다. 그래서 브라우저에서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실행할 수 있도록 나온 기술이 node.js이다. node.js는 서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많이 사용된다. node.js는 화면을 그려주는 역할이 없기 때문에 웹 빌드 도구 (Babel, webpack)을 이용해서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주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들어간다. 2) npm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node 프로젝트의 패키지(외부 라이브러리)를 관리해주는 저장소 역할을 한다. 브라우저의 경우 자바스..

SHIN SANHA
'리액트' 태그의 글 목록